이탈리아 세리에A의 명가지만, 유벤투스에게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의 명문 맨체스터 시티(이하 맨시티)는 너무 강한 상대였다. 맨시티가 유벤투스를 대파하고 조 1위 16강을 확정했다.
펩 과르디올라 감독이 이끄는 맨시티는 27일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의 캠핑 월드에서 열린 2025 국제축구연맹(FIFA) 클럽월드컵 G조 3차전에서 유벤투스에 5-2 대승을 거뒀다.
이날 승리로 맨시티는 조별리그 3전 전승, 조 1위를 확정하며 16강에 올랐다. 3경기에서 무려 13골이라는 무시무시한 공격력을 선보였다. 유벤투스는 맨시티에 대패하긴 했지만 2승1패, 승점 6점으로 조 2위를 차지해 역시 16강에 합류했다.
맨시티는 이날 에데르송, 마누엘 아칸지, 후벵 디아스, 마테우스 누네스, 라얀 아이트-누리, 로드리, 티자니 레인더르스, 사비뉴, 베르나르두 실바, 제레미 도쿠, 오마루 마르무시를 선발로 내세웠다. 이에 맞서는 유벤투스는 니콜로 사보나, 로이드 켈리, 미켈레 디 그레고리오, 알베르토 코스타, 피에르 칼룰루, 필립 코스티치, 마누엘 로카텔리, 웨스턴 맥케니, 니콜라스 곤살레스, 툰 코프메이너르스, 두산 블라호비치를 선발 출전시켰다.
맨시티는 경기 시작 4분 만에 나온 실바의 헤더 슈팅으로 포문을 열었다. 그리고 전반 9분 선제골을 넣었다. 아이트-누리가 유벤투스 수비 뒷공간을 파고 드는 도쿠를 보고 절묘한 침투 패스를 내줬고, 이를 페널티지역 왼쪽에서 잡은 도쿠가 깔끔한 슈팅으로 마무리했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치명적인 수비 실책으로 동점을 허용하고 말았다. 전반 11분 수비 진영에서 볼을 돌리다 골키퍼 에데르송의 패스가 코프메이너르스에게 향했고, 이를 코프메이너리스가 재빨리 페널티지역까지 돌파한 뒤 그대로 골로 연결했다.
이후 다시 파상공세에 나선 맨시티는 전반 26분 상대 자책골로 다시 리드를 잡았다. 오른쪽 측면을 파고든 누네스가 골문 앞으로 땅볼 크로스를 보냈는데, 이를 칼룰루가 걷어낸다는 것이 그만 골문으로 차 넣었다.
맨시티는 칼룰루의 자책골로 앞서나간 뒤에도 무수한 슈팅을 날리며 유벤투스를 압박했다. 하지만 유벤투스 골키퍼 디 그레고리오의 선방에 추가골을 넣지 못하고 전반전을 2-1로 마무리했다.
하지만 후반 들어서도 계속된 맨시티의 공세에 결국 유벤투스의 방패가 뚫렸다. 후반 시작과 함께 교체 투입된 엘링 홀란이 후반 7분 오른쪽 측면을 빠르게 파고든 누네스의 패스를 받아 골로 연결했다. 이후 후반 24분에는 사비뉴의 크로스를 포든이 골로 연결하면서 4-1까지 차이가 벌어졌다. 그리고 후반 30분 사비뉴의 그림같은 중거리슛이 골대를 맞고 골문 안으로 빨려들어가며 5-1이 됐다. 유벤투스는 후반 39분 블라호비치의 골로 1점을 만회했지만, 남겨진 시간이 너무 부족했다.
한편 같은 시간 열린 G조의 또 다른 경기에서는 박용우가 뛰는 알아인이 박용우가 뛰고 있는 알아인(아랍에미리트)는 위다드(모로코)에 2-1 역전승을 거뒀다. 2패 후 첫 승을 따낸 알아인은 1승2패로 16강 진출에 실패했으나, 뜻깊은 승점 3점을 챙기고 유종의 미를 거뒀다.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을 반대하고 나선 최민호 세종시장이 전재수 해수부 장관 내정자에게 공개토론을 제안했다. 2일부터는 정부세종청사(해수부) 앞에서 1인 시위도 벌일 예정이다.
최 시장은 1일 취임 3주년 기자회견에서 “해수부 이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전재수 내정자에게 공개토론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해수부 이전은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다. 이 대통령은 취임 직후 “연말까지 해수부 이전을 완료하라”며 이전 방침을 분명히 했다. 김태흠 충남지사, 최 시장 등 지자체장들은 이전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최 시장은 “해수부의 부산 이전은 노무현·박근혜 전 대통령 때에도 검토한 바 있지만 결국 세종에 그대로 뒀다”며 “국가적 차원에서 국토 균형발전과 국정 운영의 효율성 등을 고려해 합리적인 선택을 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해수부 이전으로 수산과 관련된 민원인 편의 문제와 지역 간 형평성 문제, 해수부 직원의 주거 문제 등이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최 시장은 “대통령이 지시한 부산 이전에 대해 전재수 내정자도 100% 동의하는지 묻고 싶다”며 “공개토론은 해수부 이전 정책에 대한 궁금증과 갈등을 해소하고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건설적인 방식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 시장은 사흘간의 1인 시위도 예고했다. 공무원 출근 시간대에 맞춰 2일 오전 8시부터 1시간가량 해수부 정문 앞에서 1인 시위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32개 회원국이 2035년까지 국방비를 국내총생산(GDP)의 5% 수준으로 증액하기로 합의한 상황에서 미국 백악관이 아시아 동맹국에 대해서도 국방비 증액을 요구할 것임을 시사했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26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나토의 국방비 증액 결의가 아시아 동맹국들과의 협상에도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만약 우리의 유럽 동맹, 나토 동맹국들이 그것을 할 수 있다면 나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우리 동맹과 친구들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구체적인 사항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언급할 일이라고 덧붙였다.
나토는 지난 25일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정상회의에서 채택한 공동성명을 통해 2035년까지 32개 회원국의 국방비를 각각 GDP의 총 5%로 증액하기로 합의했다. 연간 GDP의 최소 3.5%를 핵심 국방 수요에, GDP의 최대 1.5%를 핵심 인프라 보호, 네트워크 방어, 방위산업 기반 강화 등에 지출하기로 했다.
한국 국방부에 따르면 한국의 올해 국방예산은 GDP의 2.32%인 61조2469억원이다.
앞서 숀 파넬 미 국방부 대변인은 “유럽 동맹이 우리의 동맹, 특히 아시아 동맹을 위한 글로벌 기준을 설정하고 있다”며 “그것은 GDP의 5%를 국방에 지출하는 것”이라며 한국에 대해서도 ‘5%’ 기준이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