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안마도·인천 굴업도 등에서 모여 살던 꽃사슴이 유해야생동물로 지정될 예정이다.환경부는 안마도 등에서 개체 수가 급증한 꽃사슴을 유해야생동물로 지정하는 내용을 담은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야생생물법)’ 시행규칙을 입법예고한다고 28일 밝혔다.환경부는 “꽃사슴은 번식력이 강하고 천적이 없어 빠르게 개체수가 증가하고 있다. 또 자생식물을 고사시키며 토종 야생동물이 살던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다”며 “꽃사슴은 사람에게 질병을 전파하는 진드기의 주요 숙주로도 판명됐다”고 했다.유해야생동물로 지정되면 기초지방자치단체장 허가를 받아 해당 동물을 포획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사슴을 쫓아내는 등의 행위만 할 수 있었다면 앞으로는 엽총, 공기총, 마취총, 석궁, 활, 포획틀 등을 이용해 직접 포획을 할 수 있게 된다.환경부 조사에 따르면 전남 영광군 안마도에는 937마리, 인천 굴업도에는 178마리의 사슴이 서식 중이다. 고라니가 전국 1㎢당 7.1마리...
바움가트너폴 오스터 지음 | 정영목 옮김열린책들 | 256쪽 | 1만7800원지난해 4월 별세한 미국의 베스트셀러 작가 폴 오스터의 마지막 작품이다. 작가는 투병 중 생의 끝을 예감하면서 책을 써내려갔다고 한다. 폴 오스터의 1주기를 맞아 출간되는 이 장편소설은 상실이 남긴 흉터와 그 흉터를 삶의 일부로 끌어안은 채 나아가는 모습을 섬세하게 그린다.이 책은 10년 전 사고로 배우자 애나를 잃은 노교수 바움가트너의 이야기다. 파도가 애나를 집어삼킨 뒤 바움가트너의 삶도 상실감에 잡아먹혔다.그는 “그 자신도 대체로 그를 알아볼 수 없는” 날들을 보내다 “바쁘게 그날들을 흔들흔들 통과”해 간다. 그러던 어느 날, 까맣게 그을린 냄비는 애나에 대한 기억들을 다시 불러온다.소설은 가난한 문인 지망생으로 애나를 처음 만난 뒤 함께 보낸 40년, 양장점 주인이자 실패한 혁명가였던 아버지에 대한 회상 등 바움가트너의 일생을 톺아본다. 애나가 남긴 원고를 ...
헤엄을 무서워하는 뒤통수가 보인다. 뛰어드는 자세를 취했다가 허리를 이내 곧추세운다. 망설이는 게 틀림없다. 어쩌면 저건 나다. 나는 눈을 질끈 감은 채, 강을 향해 몸을 던진다.수면이 종잇장처럼 구겨진다.제 몸에 비해 터무니없이 작은 인간을 들일 때도, 강은 울린다. 첫 진동은 더 작은 파동으로 이어진다. 강의 먼 데까지 한 인간의 존재가 닿는다.물속에서 눈을 뜬다. 시야가 흐릿하지만 거기에는 얇고 정교한 케이크처럼 시간이 쌓여 있다.뛰어든 자는 거기서 자신이 처음 자전거를 타다 넘어진 산업단지를 본다. 잠영해서 가까이 간다. 눈을 감았다 뜨면 허름한 아파트가 보이고 머리가 짧은 애들이 보인다. 모래가 흩날린다. 눈꺼풀을 닫았다 열었더니, 비행기 소리가 난다. 공항으로 혼자 향하던 시절 맡았던 탈취제 향이 난다. 떠나는 사람들의 냄새다. 물 밑에 있어본 자들은 서로를 알아본다. 우리는 어떤 식으로든 탄로 난다.물에 들어서면 세계가 뒤섞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