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공급의 3대 지표로 꼽히는 전국 인허가·착공·준공 실적이 지난 5월 일제히 감소했다. 주택이 다 지어졌지만 팔리지 않는 ‘악성 미분양(준공 후 미분양)’은 22개월 연속 불어나 약 12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국토교통부가 30일 발표한 ‘5월 주택통계’를 보면 지난 5월 주택 인허가 실적은 1년 전보다 13.1% 줄어든 2만424가구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착공은 12.3% 줄어 1만5211가구, 준공(입주)은 10.5% 감소한 2만6357가구였다. 다만 수도권에서 준공은 전년 동기 대비 22.4%, 분양은 11.6% 증가하며 공급이 부족한 상황에 숨통을 틔웠다. 특히 서울 착공 물량은 3692가구로 1년 전보다 58.7% 늘었다. 반면 미분양 주택이 많은 비수도권 지역에서는 준공이 36.9%, 분양이 85% 감소했다.
5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전국 기준 2만7013가구로 전월보다 2.2% 늘어 2023년 8월 이후 22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이는 2013년 6월(2만7194가구) 이후 11년11개월 만에 가장 큰 규모다.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의 83%(2만2397가구)는 비수도권 지역에 몰렸다. 대구가 3844가구로 가장 많고, 경북(3357가구), 경남(3121가구), 부산(2596가구)이 뒤를 이었다. 전북에서도 312가구의 악성 미분양이 대거 새로 발생했다.
일반 미분양 주택은 5월 6만6678가구로 전월보다 1.6%(1115가구) 줄었다.
이소미-임진희가 숨막히는 연장전 끝에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다우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했다.
이소미-임진희는 30일 미국 미시건주 미들랜드의 미들랜드CC(파70·6287야드)에서 열린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2인 1조 팀경기 다우 챔피언십(총상금 330만 달러) 포볼 방식(각자 플레이 한 후 홀당 더 좋은 기록을 팀 성적으로 적는 방식)의 최종라운드에서 8언더파 62타를 합작하고 합계 20언더파 260타를 기록, 렉시 톰프슨-메건 캉(미국)과 공동선두로 마쳤다.
이어진 18번홀(파3)에서 열린 포섬 방식(한 개의 공을 두 명이 번갈아 치는 경기)의 연장전에서 이소미가 티샷을 핀 2.5m 뒤에 붙였고, 임진희가 침착하게 버디 퍼트를 성공했다. 이어 메건 캉이 약 1.8m 거리의 버디 퍼트를 왼쪽으로 실패하면서 승부가 갈렸다. 톰프슨이 먼저 티샷을 더 가까이 붙여 이소미-임진희를 압박했으나 LPGA투어 2년차 한국 듀오는 긴장감을 모두 극복하고 데뷔 첫 우승을 팀경기에서 이뤘다.
경기직후 인터뷰에서 임진희는 “혼자라면 할 수 없었을 것이다. 내년에 다시 돌아오겠다”며 활짝 웃었고, 이소미는 “믿을 수 없다. 우리는 작년 루키 시즌에 힘든 한 해를 보냈지만 이번에 같이 우승했다”며 “매우 행복하다”고 말했다.
둘은 우승상금 80만 5382달러(각자 40만 2691달러)를 받았고, LPGA 투어 공식 우승 기록과 함께 2년 시드를 받는 기쁨을 누렸다. 팀경기 우승은 상금 및 CME 글로브 포인트 순위에도 점수를 더하지만 세계랭킹과 올해의 선수 순위에는 반영되지 않는다.
둘은 한국선수로서 처음으로 다우 챔피언십에서 우승했고 김아림, 김효주, 유해란에 이어 한국선수 시즌 4승을 달성했다. 아울러 한국선수 역대 50, 51번째 우승자로 이름을 올렸다. 1988년 구옥희가 처음 LPGA 투어 대회에서 우승한 이래 한국선수들은 이전까지 49명이 216승을 거두고 있었다.
임진희는 올 시즌 4번째이자, 통산 10번째 톱10을 우승으로 장식했다. 아울러 지난해와 더해 총상금 200만 달러(226만 7751 달러)를 돌파했다.
이소미는 올 시즌 3회 연속 톱10을 우승으로 연결했다. 지난해에 이어 5번째 톱10이다. 이소미는 올시즌 상금 100만 달러(125만 7035 달러)를 돌파했다.
김세영과 교포선수 오스턴 김(미국)이 공동 6위(16언더파 264타)에 올랐고 전지원-이미향이 공동 10위(15언더파 265타)에 들었다. 기대를 모았던 박성현-윤이나는 이날 2타밖에 줄이지 못하는 바람에 전날 공동 4위에서 공동 18위(13언더파 267타)로 마쳤다.
롯데건설이 경기 김포시 풍무동에 ‘풍무역 롯데캐슬 시그니처’를 공급 중이다.
풍무역 롯데캐슬 시그니처는 지하 3층~지상 28층, 9개동으로 조성된다. 전용면적 65~84㎡ 총 720가구로 이뤄진다. 입주는 2028년 7월 예정이며, 경기 김포시 풍무동 30-1번지 일원에 위치한다.
단지가 위치한 풍무동은 교통, 교육, 편의 등 생활인프라가 우수하다. 현재 김포 골드라인을 이용하면 김포공항까지 10분대, 서울 마곡과 여의도권까지는 각각 20~40분대 이동이 가능하다.
이에 더해 최근 5호선 김포·검단 연장사업 추진이 예고되고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가 곧 발표될 것으로 알려지면서 시장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우수한 교육환경과 풍부한 인프라도 자랑한다. 단지 인근에는 이마트 트레이더스, 김포시청 등이 있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 1분기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전 분기 대비 연율 -0.5%를 기록했다고 26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지난달 발표된 잠정치인 -0.2% 대비 0.3%포인트 하향 조정된 수치다.
미국 경제는 지난해 4분기에 2.4% 성장했으나 올해 1분기에 3년 만에 역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